본문 바로가기

4대강

한국은 본디 자연을 최대한 존경하는 나란데..." [4대강 국내외 전문가 좌담] "4대강, 소독약 냄새 나는 청계천처럼 되지 않을까" "아주 오래 전부터 한국 문화를 보면 전통적인 조경이라든지 해서 언제나 자연을 최대한 존경하고, 최소한 손 대고 그냥 그대로 감상하고 그런 전통인데 이제 와서 이런 일을 하니까 어이없다고 생각합니다." 4대강사업을 지켜본 벤 잭슨 기자의 지적이다. 는 지난 17일 저녁 시내의 한 호텔에서 운하반대교수모임과 공동으로 외국인들이 4대강사업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좌담회를 마련했다. 참석자들은 한국에서 오랜 세월 생활하며 한국에 대한 애정과 이해가 깊은 분들로 구성됐다. 시작부터 한국 정치권에 대한 신랄한 비판이 나왔다. 영국의 벤 잭슨 기자는 "한국은 정치인들 덕분에 잘 돌아가는 나라가 아니고, ‘그런’ 정.. 더보기
정부 “사다리꼴 준설, 운하형 아냐”…전문가 “독일운하 닮아” “보도자료 잘못…사다리꼴이 경제적” 이상한 해명 전문가 “양쪽 둑 주변서 파는게 더 경제적” 반박 계획변경 따라 수심 6m 이상땐 화물운하도 가능 4대강 사업 준설공사가 ‘운하형’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보도(16일치 1·4·5면 참조)에 대해 국토해양부 쪽은 “운하는 아니다”라면서도, 사다리꼴 준설을 운하형이라고 한 국토부 보도자료에 대해 “그림이 잘못된 것 같다”며 이해하기 힘든 해명을 내놓았다. 이재붕 국토부 대변인은 16일 4대강 공사현장에서 사다리꼴 모양의 준설을 하고 있는 데 대해 “중심부 바닥을 준설하는 곳도 있고 그렇지 않은 곳도 있으며, 공사위치에 따라 단면도의 그림은 차이가 난다”고 주장한 뒤 “(2008년 12월 국토부 보도자료의) 그림은 개념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지나치게 단순화하다 보.. 더보기
열악한 기후관측 장비…집중호우땐 재난 우려 4대강 ‘수문기상 시나리오’ 왜 필요 현재는 간이장비만…최악땐 댐붕괴 부를수도 2008년 여름, 강원 삼척시 광동댐은 태풍 등이 자주 온다는 예보에 따라 댐 안의 물을 대규모로 방류했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비는 많이 오지 않았다. 태백·삼척·영월·정선 주민들은 이듬해 봄까지 지독한 물 부족 사태를 겪어야 했다. 국지예보 능력의 근본적인 한계와 이에 따른 수량관리 실패가 부른 재난이었다. 또 상당수의 댐이 붕괴 위험을 겪고 있는데도, 국지예보가 미흡해 불안감은 더 커지고 있다. 환경부가 2008년 낸 ‘상수 전용댐 안전성 대책 및 치수능력 증대방안 연구’ 보고서를 보면, 전국 39개 상수 전용댐 가운데 25개가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강우로 월류, 붕괴 등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이 댐들에 대한 보.. 더보기
4대강 기후변화 대비책 계획만 있고 예산은 ‘0원’ 4대강 기후변화 대비책 계획만 있고 예산은 ‘0원’ 수문기상시스템 표류…집중호우 예보 등 차질 “공사 전후 변화 살피려면 당장 관측기 설치 나서야” (2010.07.29, 한겨레, 남종영 기자) 더보기
“강, 인위적 관리방식 버려야” 4대강 국제간담회서 미국 하천 전문가 경고 “대규모 준설 효과 없어” “미국도 과거에 대규모 준설을 시도했지만 효과적인 결과를 얻지 못했다. ‘4대강 살리기’ 사업에 대해 확신에 차 있는 사람을 믿지 마라.” 대한하천학회가 2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연 ‘여야 중진의원 초청 4대강 사업 국제전문가 간담회’에서 랜돌프 헤스터 미국 버클리대 명예교수는 이렇게 말했다. 김두관 경남도지사 당선자 등 50여명이 참석한 간담회에서 헤스터 교수는 정부가 추진하는 4대강 사업은 강을 파괴하는 구시대적인 방식이며, 진정으로 강을 살리기 위해서는 댐(보) 건설 등 공학적인 방식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지적했다. 헤스터 교수는 미국에서 하천 복원과 환경계획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하천 전문가다. 헤스터 교수는 .. 더보기
헤스터 교수 "4대강 사업, 미국 60년대 땜질 개발 판박이" 헤스터 교수 "4대강 사업, 미국 60년대 땜질 개발 판박이" 세계적 석학의 비판 "무모한 하천개발, 불가역적 악영향" "한 가지 분명한 것은 '하천 복원'이란 하천을 자연 그대로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하천은 인간이 통제하고 지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하천 복원'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 랜돌프 헤스터 미국 버클리캘리포니아주립대학 교수(조경·환경계획과)가 "생태 복원 없는 무모한 하천 개발"이라며 정부의 4대강 사업을 질타했다. 4대강 사업이 "이미 선진국에서는 30~40년 전에 폐기된 낡은 강 관리 방식"이며, "보 건설·대규모 준설이 하천 생태계에 미치는 악영향은 되돌리기 어려울 정도로 심각"하다는 것이 그의 지적이다. 이런 내용을 담은 '4대강 사업 국제 전문가 간담회'가 2.. 더보기
“망가지는 습지, 정부발표의 2배이상” 습지연구소 “56곳 침수·소실, 124곳 부정적 영향” 4대강 사업으로 악영향을 받거나 훼손되는 습지 규모가 정부 발표보다 2배 이상 많을 것으로 조사됐다. 한동욱 습지생태연구소장은 22일 ‘우리나라 내륙습지목록 현황과 하천습지’란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환경부와 국토해양부가 2007년 기준으로 작성한 ‘국가습지목록’을 정부가 발표한 4대강 사업으로 영향받는 지역에 적용한 결과, 4대강 사업 구간에 포함된 습지와 이 사업으로 영향을 받는 습지가 지난해 정부의 공식 발표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한 소장의 보고서는 오는 26일 일본에서 열리는 제5차 한·일 습지포럼에서 공식 발표된다. 분석 결과를 보면, 4대강 사업 구간에 포함되는 하천습지는 모두 208곳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더보기
지금은 '아니'라고 말할 때 김미형(기후변화행동연구소 객원연구위원) 최근 2년 동안 세계를 아우르는 화두는 '기후변화'인 것 같다. 국내에선 아마도 '대운하'와 '저탄소녹색성장'이 아닐까 싶다. '대운하' 대신 '4대강 살리기'라 바꿔 부르고 있으나 둘이 다를 게 하나도 없다는 것을 조금만 들여다보면 알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 사람들은 전혀 다른 것, 아니 반대되는 것으로 알고 있으니 답답한 노릇이다. 아무튼 죽어가는 강을 살리자는 데다 세계 이슈가 되고 있는 온실가스를 줄인다는 '저탄소성장' 그것도 '저탄소녹색성장'을 하겠다니 그대로 믿는다면 우리나라도 이제 환경 선진국에 들어서나 싶어 뿌듯할 수도 있겠다. 또한 우리 생명을 지키는 일을 한다니 더욱 열심히 허리띠를 졸라매고 일을 하여 세금으로 보답하리라 다짐을 할 수도 있을 것..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