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라 바깥 소식

후쿠시마 재앙으로 본 원전의 딜레마

일본의 원전 사고는 원자력에너지의 미래에 대해 많은 의문을 던져주고 있다. 442기에 달하는 세계의 원전들이 향후 마주하게 될 딜레마의 하나는 원전의 입지에 따른 안전성에 관한 문제다. 쓰나미 발생 위험이 있는 해안지역과 기후변화로 냉각수 공급이 불안정해지고 있는 내륙의 강이나 호수 인접지역 중 어디가 더 안전한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문제를 풀기는 쉽지 않다. 세계의 원자로들은 이번에 사고를 일으킨 후쿠시마 제1원전처럼 대부분 해안가에 세워져 있다. 강이나 호수 부근에서 가동되고 있는 원자로 수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우리나라 원전들은 원자로를 식히는 냉각수를 모두 바다에서 끌어오고 있다. 

 

굳이 비교하자면 지질학적으로 안정돼 지진 발생 위험이 없는 곳이라면 해안지역이 더 안전할 수도 있다. 내륙에서의 냉각수 공급은 폭염, 가뭄, 홍수, 수온변동, 댐 사고 등의 위험이 있어 취약성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이다. 예컨대 2003년 폭염이 유럽을 휩쓸었을 때 프랑스전력공사는 19개 원전의 가동을 중단하거나 출력을 절반 수준으로 줄여야 했다. 온배수가 론(Rhone) 강 등의 수온 상승에 미치는 영향의 허용범위가 법적으로 제한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기후변화가 진행될수록 내륙의 강이나 호수에서 냉각수를 끌어다 쓰는 원전들은 잦은 고장과 가동 중단의 압력에 직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해수면 상승도 해안지역에 위치한 원전들을 곤경에 빠뜨릴 수 있다. 해수면이 높아질수록 폭풍해일과 쓰나미의 영향은 더 커질 것이기 때문이다.

 

환경과 안전성에 관한 규제 강화도 원전의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지진이든 쓰나미든 발생 가능성이 있는 재난에 대비해 안전장치를 강화한다는 것은 곧 원전의 경제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원전은 이미 원자로 폐기비용 등을 고려할 때 경제적이지 않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윤성권 인턴연구원).